본문 바로가기
경제

HK이노엔 주가 전망(+케이캡 미국 개발 스케줄, 제약사들과 코프로모션 계약 논 의중)

by 코코친구 2023. 9. 19.
반응형

기업개요

- 2014년 4월 씨제이제일제당(주)의 제약사업부문을 물적분할하여 설립되어 2018년 한국콜마(주)에 인수된 기업으로 전문의약품과 숙취해소제, 건강기능식품 등을 제조, 판매.

-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 카발린, 로바젯 등의 의약품을 보유하고 있으며 숙취해소 음료 컨디션, 탈모케어 제품 스칼프메드 등의 제품을 생산하고 있음.

- 숙취 해소제 시장에서 컨디션을 바탕으로 시장점유율을 확보한 가운데 수액제 및 순환기, 항생제, 소화기 등 다양한 질환에 대응 가능한 제품 포트폴리오 보유.

 

HK이노엔 주가 전망

본격적인 수익성 개선이 시작되는 HK이노엔

● 케이캡은 19년 출시 이후 PPI 대비 높은 편의성과 효과, 라니티딘의 시장 퇴출 등으로 가파른 성장을 지속. UBIST에 따르면 케이캡의 지난해 처방 금액은 1,463억 원이었으며 1H24 에도 741억 원의 처방 실적을 기록.

 

 

● 현재 케이캡정은 종근당과 코프로모션 판매를 하고 있으며, 케이캡 OD 정은 직접 판매 중.

 

● 케이캡 코프로모션 계약 당시 예상 매출 규모를 크게 초과하면서 현재 높은 수준의 수수료를 지급하고 있으며 수수료 비용으로 인해 케이캡 매출 규모 대비 수익성은 낮은편.

 

 

● 그러나 계약 기간이 23년 말 종료 예정으로 현재 종근당을 포함한 제약사들과 코프로모션 계약 논의 중.

 

● 케이캡 코프로모션 시 단기에 외형 성장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낮은 수수료율에도 코 프로모션 계약 가능성은 높을 것으로 예상하며 수수료율 변경 시 큰 폭의 동사 이익 개선 전망

 

기업실적

- 케이캡 및 기초수액과 영양수액을 비롯한 전문의약품 부문 호조와 컨디션 등 숙취해소 제품 등의 HB&B부문 성장으로 전년대비 국내 및 중국, 미국 시장을 중심으로 매출 확대.

- 원가관리에도 판관비 비중이 상승한바 영업이익률은 전년대비 소폭 하락하였으나 금융수지 및 기타 수지 개선과 관계기업손실 축소, 법인세 수익 반영으로 순이익률은 상승.

- 케이캡 저용량 제품 출시와 중국 매출 본격 확대, 구강 붕해정 판매 증가, 중국 로열티 유입으로 조스타박스 공급 지연과 뷰티 매출 부진으로 건강 기능식품 사업 정리에도 매출 성장할 듯.

 

케이캡 미국 개발 스케줄

반응형